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혼부부 증여세 공제 최대 2억원까지 가능해지나

by rollirolli 2023. 7. 5.
반응형

 

 

<하반기 경제 정책 방향 주요 내용>

경제활동인구 확대
1. 혼인 시 결혼자금증여세 공제한도 상향
2. 지역특화비자 확대, 외국인 정책 개편
3. 하반기 고숙련인력비자(E-7-4) 쿼터 확대
기업 투자 지원
1. 중소 중견 기업 증여세 특례 확대
2. 가업상속공제 업종변경 제한 완화
3. 영상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상향
4. 시설투자 자금 26조원 공급 대출한도 상향
민생 안정
1. 내년 건강보험료 인상 최소화
2. 대학 학자금 대출금리(1.7%) 동결
3. 중기 소상공인 수도요금 한시 감면
4. 영세 음식점 농산물 세액공제율 확대

 

정부가 결혼할 때 부모에게 증여받는 자금에 한해 공제한도(기존 5000만원)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다양한 고민이 담겨있다.

 

세금 부담을 낮춰주면 젊은 세대가 결혼 생활을 시작할 때 좀 더 여유를 갖게 되고, 출산율을 조금이라도 더 높일 수 있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동시에 고령층에 묶여 있는 3600조원이 넘는 막대한 자금을 사후 상속이 아닌 생전증여로 전환해 생산적으로 활용하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4일 기획재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예비 신혼부부의 증여자금 공제한도를 높이고 출산, 보육수당 비과세한도를 늘리는 등 저출산 고령화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핵심은 혼인자금의 증여세 공제 확대다. 현재 부모, 조부모 등 직계존속이 성인 자녀나 손주 등 직계비속에게 재산을 증여할 대 1인당 5000만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증여한도는 10년간 누계 기준이 적용된다. 성인은 10년간 5000만원, 20년간 최대 1억원까지 세금을 물지 않고 증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공제한도를 넘기면 과세표준별로 10~50%의 세율로 세금을 내야한다. 문제는 이 같은 공제한도가 2014년 3000만원에서 5000만원(미성년 1500만원→2000만원)으로 올라간 이후 9년간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해 국내 경제 규모(국내총생산 2169조원)와 1인당 국민총소득(GNI 4249만원)은 증여세 공제한도가 올라간 2014 이후 38.3%, 37.3% 늘었다. 

 

세대 간 자본 이전을 촉진해 청년층의 소비 여력을 늘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매일경제가 통계청 가구별 순자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베이비부머 등 60세 이상 고령층 순자산은 지난해 사상 처음 3600조원(3658조원)을 돌파했다. 전체 경제 규모보다 1.7배 많은 돈이 고령층에 묶여 있는 것이다. 기재부는 구체적인 공제한도는 여론 수렴을 거쳐 이르면 이달 안에 세법개정안을 통해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세무 업계에서는 정부가 공제한도를 5000만원에서 1억~2억까지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예비부부가 각자 증여를 받는다고 하면 2억~4억까지 공제 혜택이 늘어나는 것이다. 

 

정부는 고령화 대책으로 사적 연금과 주택연금 가입 인센티브를 늘린다는 방침도 밝혔다. 2013년부터 11년째 그대로인 사적 연금 분리과세 기준(현행 1200만원)을 높인다는 것이다. 

 

현재 월 10만원인 출산 보육 수당 비과세한도를 확대하고 자녀장려금을 늘리면서 기업이 직원에게 지급하는 양육 지원금에 대한 세제 혜택을 부여한다. 

 

급감하는 일손을 보강하고 경제활동인구를 늘리기 위해 외국인 노동력도 수혈한다. 정부는 오는 4분기 취업비자 체류 기간을 늘리고 대상 업종을 확대하는 내용의 범정부 외국인 정책개편 방안을 발표한다. 전문인력에게 문호를 열어주는 취업비자 총량제 도입을 검토하며 지난해 연 2000명이었던 숙련기능인력(E-7-4) 비자 쿼터는 올해 3만명 이상으로 늘린다. 외국인 가사도우미 시범 사업도 진행된다. 내년 비전문인력(E-9) 비자의 가사 서비스 인증기관 취업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추천한 외국인, 지자체 내 동포 가족을 대상으로 거주(F-2), 동포(F-4)비자를 선발급한다. 

 


There are various considerations behind the government's decision to raise the deduction limit (currently 50 million won) for funds received from parents upon marriage.

 

The government's judgment is that reducing the tax burden would provide young couples with more financial flexibility when starting married life, potentially increasing the birth rate. Additionally, there is a plan to transform over 360 trillion won, which is currently tied up in the elderly population, into productive use through lifetime gifting rather than posthumous inheritance.

 

On the 4th,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nounced its plans to address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by increasing the deduction limit for prospective newlywed couples' gifted funds and expanding the tax-exempt limit for childbirth and childcare allowances.

 

The key focus is on expanding the tax deduction for marriage funds. Currently, parents, grandparents, and other direct lineal ascendants can receive a deduction of up to 50 million won per individual when gifting property to adult children or grandchildren. The gifting limit is cumulative over a period of 10 years. This means that adults can gift up to 50 million won tax-free over a 10-year period, or up to 100 million won over 20 years. If the deduction limit is exceeded, taxes must be paid at a tax rate ranging from 10% to 50%, depending on the taxable amount. The problem is that this deduction limit has not changed in 9 years since it increased from 30 million won to 50 million won (15 million won to 20 million won for minors) in 2014. Since then, the size of the domestic economy (216.9 trillion won) and per capita gross national income (42.49 million won) have increased by 38.3% and 37.3% respectively.

 

It is also argued that promoting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capital could increase the spending power of the younger gener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household net asset data by Maeil Business Newspaper, the net assets of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0 and above, such as baby boomers, surpassed 360 trillion won (365.8 trillion won) for the first time last year. This is 1.7 times more money tied up in the elderly population than the entire size of the econom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plans to make a final decision on the specific deduction limit through public consensus and aims to revise the tax law by the end of this month. However, the tax industry speculates that the government may raise the deduction limit to 100 million to 200 million won, rather than 50 million won. This means that if engaged couples each receive gifts, the deduction benefits would increase to 200 million to 400 million won.

 

The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its plans to expand private pension and housing pension enrollment incentives as part of its aging population countermeasures. The plan is to increase the current separate taxation threshold for private pensions (currently 12 million won) which has remained unchanged for 11 years since 2013.

 

By expanding the current tax-exempt limit of 100,000 won per month for childbirth and childcare allowances, and increasing the encouragement funds for childbirth, the government aims to provide tax benefits for childcare support funds provided by companies.

 

To supplement the declining workforce and increase the working-age population, the government is also seeking to attract foreign labor. In the fourth quarter of this year, the government will announce a comprehensive intergovernmental foreigner policy reform plan, which includes extending the duration of employment visas and expanding the scope of target industries.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a total quota system for employment visas, which would open the door to skilled workers, and the quota for skilled workers (E-7-4 visa), which was 2,000 last year, will be increased to over 30,000 this year. The pilot program for foreign domestic helpers will also be implemented. Starting next year, the employment of non-professional workers (E-9 visa) in household services will be allowed through certified employment agencie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 bodies will be authorized to issue residence visas (F-2) and compatriot visas (F-4) for foreigners recommended by local governments and within their compatriot families.

 

 

 

 

 

※ 출처: 매일경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