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저출산 대책 세제... 영유아 의료비 세액공제 한도 폐지

by rollirolli 2023. 7. 28.
반응형

 

 

산후조리 비용 세액공제는 소득에 상관없이 전면 확대 

청년 결혼출산 부담 줄여줘

소득 7천만원 중산층까지 자녀장려금 지급 확대하기로

 

정부가 결혼하는 자녀에게 부모가 증여하면 최대 1억5000만원까지 세금을 물리지 않기로 한 데는 젊은 세대로 부의 이전을 촉진해 저출산 현상에 대응하려는 포석이 깔려 있다. 세금 부담없이 더 많은 돈을 증여받아 안정적으로 결혼생활을 시작하면 출산율을 높일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올해 세법개정안에는 이처럼 출산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하려는 정책이 여럿 담겼다. 정부는 연간 700만원인 영 유아(0~6세)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15%) 한도를 폐지하고,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 근로자에게만 적용됐던 산후조리 비용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연200만원 한도)도 모든 근로자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자녀장려금 소득상한 금액은 4000만원에서 7000만원으로 올리고 최대 지급액도 자녀당 8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이 중 핵심은 증여 공제 한도 확대다. 현재는 부모 조부모 등 직계존속이 성인 자녀나 손주 등 직계비속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1인당 5000만원까지만 공제받을 수 있다. 성인의 경우 10년간 5000만원, 20년간 최대 1억원까지 세금을 물지 않는데 공제 한도를 넘기면 과세표준별로 10~50% 세율로 세금을 내야 한다. 

 

문제는 이 같은 공제 한도가 2014년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올라간 이후 9년간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납세자들 사이에서는 높아진 자산가격과 소득 등 달라진 경제환경을 반영해 공제 한도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국내 경제 규모(GDP 2162조원)와 1인당 국민총소득(GNI 4249만원)은 증여세 공제 한도가 올라간 2014년 이후 각각 38.3%, 37.3% 늘었다. 과세당국이 증여 공제 한도를 일일이 감시하기도 쉽지 않아 5000만원 공제 한도는 사실상 사문화된 법제라는 비판이 많았다. 이번 상속 증여세 개편은 국회에서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다. 법 개정 과정에서 증여할 재산이 있는 계층에만 혜택이 돌아간다는 이른바 '부자감세' 논란이 불거질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세대 간 자본 이전을 촉진해 청년층의 소비 여력을 늘리는 등 고령층에 고여 있는 자금을 생산적인 부문으로 흘러가도록 물꼬를 너줘야 한다는 당위성이 있다. 

 

한 상송증여 전문 변호사는 "고령층이 쌓은 자산이 소비와 소득 재창출 증력이 왕성한 젊은 층으로 원활히 이동해야 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며 "상속 증여세 개편은 우리 사회의 부를 키운다는 프레임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출처: 매일경제

 

 

 

 

 

 

반응형

댓글